Park, DongHyuk

이름 : 박동혁 | DongHyuk Park
Eng. Name : Jerry Park
E-mail : dh.park@teamflyers.kr
Github : https://github.com/eaeao

관심분야

정보교육 : 프로그래밍 교육, 피지컬 컴퓨팅, 교육용 도구 및 환경, 교육평가
개발방법론 : Agile, Kanban, Clean Code
디자인 : Web, App, Presentation

기술역량

Web Front-end : HTML, JS(Nuxt.js, Vue, React, JQuery, Storybook), CSS(SCSS, Responsive Web)
Web Back-end : Python(Django, DRF, GraphQL, Celery, Channels), Node.js(Express.js, Sequelize, pm2) Server(uWSGI, Nginx, Apache), RDBMS(AWS RDB, PostgreSQL, MariaDB, Mysql), NoSQL(MongoDB, Redis), MQ(RabbitMQ)
Mobile : JS(React-Native, Styled-Components, Storybook), Java(Android), Swift(IOS)
DevOps : OS(Ubuntu), Cloud(AWS, Firebase, Heroku, Google App Engine), Git(Github, GitFlow), Google Analytics, Hotjar, UXCam
Open-source Hardware : Arduino, Raspberry Pi

학력사항

2016. 03. ~ 2018. 02.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컴퓨터학과 수료
2009. 03. ~ 2016. 02. 경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졸업 (공학사)

경력사항

2019. 06. ~ 현재 응용소프트웨어 개발·공급 업체 플라이어즈 대표
2014. 09. ~ 현재 대구경북 인터넷 신문·방송 TKTV IT개발 국장
2017. 04. ~ 2019. 05. 초·중·고등교육 응용소프트웨어 개발·공급 업체 스마트앤와이즈 Tech Lead (2년)
2015. 04. ~ 2016. 03. 교육용 컨텐츠 개발업체 7o’clock 기술부분 공동창업자 (1년)
2013. 05. ~ 2014. 12. 게이머를 위한 가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REDBOMBA CTO (2년)
2010. 05. ~ 2014. 09 마켓팅 전문 컨설팅 업체 Thee Well Communication 개발실 실장 (5년)

대내·외 활동

2020. 07. ~ 2020. 08. 개발자와 디자이너를 위한 IT 연합동아리 NEXTERS 17기 회원
2016. 03. ~ 2018. 02. 고려대학교 정보·컴퓨팅교육연구실 연구원
2017. 01. ~ 2017. 06. SW 실전 창업 연합 동아리 REAL 5기 회원
2013. 01. ~ 2016. 02. 경일대학교 사이버보안연구실 연구원 (3년)
2009. 03. ~ 2016. 02. 경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학술·창업 동아리 KICOM 회장, 학술부장, 기획부장, 대외차장 (7년)
2009. 03. ~ 2016. 02. 대학정보보호동아리연합회 KUCIS(Korea University Clubs Information Security) 회원 (3년)
2010. 03. ~ 2010. 12. 전국대학CERT연합 U.U.U(the Union of the Universal University for CERT) 회원 (1년)

발표/강의/출품

2018. 10. 10. 고교-대학 연계 동아리 전공 체험 프로그램 - 대구 심인고등학교 <피지컬 컴퓨팅으로 배우는 SW> 교육 강사
2017. 07. 22. 소프트웨어 교육 연구/선도학교 - 경기 남양주 마석고등학교 <라즈베리파이와 파이선을 이용하여 IoT 구현하기> 교육 강사
2017. 06. 03. 고려대학교 SW중심대학 사업 - 경기도교육청 교육과정 클러스터 <라즈베리파이와 파이선으로 데이터 처리하기> 교육 강사
2017. 01. ~ 2017. 02. 고려대학교 SW중심대학 사업 -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2017 전공자 신입생 SW 캠프> 교육 강사
2016. 10. ~ 2016. 12. 고려대학교 SW중심대학 사업 - 서울 중앙고등학교 <아두이노로 배우는 SW> 교육 강사
2016. 08. 10. 한국컴퓨터교육학회 - 2016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자연계열 전공자를 위한 정보학관련 부전공 필수이수에 관한 제언> 발표
2016. 08. 02. 고려대학교 SW중심대학 사업 - 강원 정선 임계고등학교 <아두이노로 배우는 SW> 교육 강사
2016. 04. 30. 한국정보처리학회 - 2016년 춘계학술발표대회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아두이노 교육환경 설계> 발표
2015. 11. ~ 2015. 12. 고교-대학 연계 동아리 전공 체험 프로그램 - 대구 심인고등학교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프로그래밍 배우기> 교육 강사
2015. 10. 17. 대한전자공학회 - 2015년도 융합/스마트/클라우드 컴퓨팅 학술대회 <IR센서 기반 라즈베리파이를 활용한 스마트홈 자동화 시스템 구현> 발표
2013. 10. 19. 대한전자공학회 - 2013년도 융합/스마트/클라우드 컴퓨팅 학술대회 <개인적 지식 기반의 태그된 이미지를 활용한 그래피컬 패스워드 인증 기법> 발표
2013. 09. 14. 한국정보보호진흥원 - 2013년 대학정보보호동아리연합회 하반기 세미나 <Shoulder Surfing 공격을 고려한 암호패턴 알고리즘> 발표
2010. 11. 25. 대구·경북지방중소기업청 - 제 7회 창업동아리 경연대회(BIZ PLAN) 작품 출품
2010. 06. ~ 2010. 09.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2010년 한이음 IT멘토링 공모대전 작품 출품
2009. 10. 10. 한국정보보호진흥원 - 2009년 대학정보보호동아리연합회 하반기 세미나 <루트킷의 공격과 예방> 발표

교육/연수

2019. 11. 20. Google Developers Groups Korea - GDG DevFest Seoul 2019
2019. 08. 17. 파이콘 한국 준비위원회 - Pycon Korea 2019 파이썬 컨퍼런스
2018. 11. 10. Google Developers Groups Korea - GDG DevFest Seoul 2018
2018. 08. 18. 파이콘 한국 준비위원회 - Pycon Korea 2018 파이썬 컨퍼런스
2018. 04. 18. AWS Summit - AWS Summit 2018 Seoul
2017. 08. 12. 파이콘 한국 준비위원회 - Pycon Korea 2017 파이썬 컨퍼런스
2017. 04. 12. 미래창조과학부 - 코드게이트2017 국제해킹방어대회 & 글로벌 보안 컨퍼런스
2016. 08. 13. 파이콘 한국 준비 위원회 - PyCon APAC 2016 파이썬 컨퍼런스
2015. 08. 29. 한국 파이썬 커뮤니티 - 제 2회 Pycon Korea 파이썬 컨퍼런스
2015. 04. 08. 미래창조과학부 - 코드게이트2015 국제해킹방어대회 & 글로벌 보안 컨퍼런스
2014. 09. 29. NAVER - DEVIEW 2014 개발자 컨퍼런스
2014. 08. 30. 한국 파이썬 커뮤니티 - 제 1회 Pycon Korea 파이썬 컨퍼런스
2014. 08. 01. NAVER - 제 9회 NAVER D2 대구 오픈세미나
2013. 07. 01. IEEE/ACIS - 14th IEEE/ACIS SNPD 2013 국제학술대회(하와이, 미국)
2010. 11. 06. 전국대학 CERT연합 - 2010 전국대학 CERT연합 제 11회 U.U.U 정기 워크샵
2009. 05. 23. 한국정보보호진흥원 - 2009년 대학정보보호동아리연합회 상반기 세미나
2006. 01. ~ 2008. 04. International Christian Academy - 필리핀 소재 사립 고등학교 2, 3학년 과정

연구활동 (보조연구원)

2018. 07. ~ 2018. 12. 삼성전자주식회사 - 주니어 소프트웨어 아카데미 온라인 플랫폼 운영 지원 및 성과연구, 홍보 및 확산
2018. 03. ~ 2018. 12. 한국과학창의재단 - 소프트웨어(SW) 영재교육 지원사업단
2017. 09. ~ 2017. 12. 삼성전자주식회사 - 주니어 소프트웨어 아카데미 미래교사단 총괄, 성과연구, 홍보 및 확산
2017. 08. ~ 2017. 12. 한국과학창의재단 - 소프트웨어(SW) 영재학급 지원연구단
2016. 07. ~ 2017. 06. 한국연구재단 - 피지컬 컴퓨팅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환경 개발 연구
2016. 05. ~ 2017. 04. 한국연구재단 - 체계적인 정보교육과정 기반의 교육평가 및 교원양성체제 지원 시스템 개발
2016. 03. ~ 2017. 02.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 고려대학교 SW중심대학

논문

Mobile Application and website Development Agreement

프로젝트명 : Mobile Application and website Development Agreement
단체명(팀명) : Two Platforms Inc.
직책 : 용역공급자
프로젝트기간 : 2022. 06. 14. ~ 2023. 09. 15.

주요업무 및 역할
Two Platforms Inc.의 용역공급자로서 차세대 AI 메신저 및 SNS 기능을 통합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였습니다. React Native를 기반으로 한 크로스 플랫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담당하며, ZAPPY와 같은 혁신적인 AI 플랫폼의 핵심 기능들을 구현하였습니다. 실시간 채팅 시스템, AI 기반 영상통화, 소셜 피드(모먼트) 기능, AI 친구들과의 상호작용 등 다양한 기능을 개발하였습니다. Firebase 생태계를 활용한 백엔드 서비스 연동 및 실시간 기능 구현에 주력하였으며,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인 Jotai를 사용하여 복잡한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였습니다. React Navigation을 통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구축하고, 특히 Firebase의 다양한 서비스(Authentication, Firestore, Cloud Messaging, Storage 등)를 통합하여 사용자 인증, 실시간 메시징, 푸시 알림, 미디어 파일 저장 등의 핵심 기능을 개발하였습니다. Native Base UI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일관성 있고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Expo AV를 통한 멀티미디어 기능과 React Native CallKeep 및 VoIP 푸시 알림을 통한 고품질 영상통화 기능을 구현하여, 사용자들이 AI와 함께 소통할 수 있는 혁신적인 플랫폼을 개발하였습니다.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Mobile Development : React Native, Jotai, React Navigation, Native Base, Expo AV
Backend & Services : React Native Firebase (Authentication, Firestore, Cloud Messaging, Storage), React Native CallKeep, React Native VoIP Push Notification

컨텐츠 관련 내용
● 차세대 AI 메신저 및 SNS 기능을 통합한 혁신적인 플랫폼 개발
● MAGIC CHAT 기능: AI 생성 메시지를 활용한 지능형 채팅 시스템
● AI 기반 영상통화: 사용자가 AI 룩으로 자신감 있게 통화할 수 있는 기능
● 모먼트(소셜 피드): 일상의 특별한 순간들을 공유하는 SNS 기능
● AI 친구들: 개성 넘치는 다양한 AI 캐릭터와의 상호작용 기능
● 실시간 메시징 및 음성/영상 통화 기능 통합
●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 및 관리 시스템

시스템 관련 내용
● React Native 기반 크로스 플랫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 Jotai를 활용한 복잡한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효율적인 상태 관리 시스템 구현
● React Navigation을 통한 다중 기능(채팅/통화/모먼트/AI친구) 앱 네비게이션 구조 설계
● Firebase Authentication을 통한 소셜 로그인 및 사용자 인증 시스템 구축
● Firebase Firestore를 활용한 실시간 메시징 및 소셜 피드 데이터베이스 연동
● Firebase Cloud Messaging을 통한 실시간 메시지 및 통화 알림 서비스 구현
● Firebase Storage를 활용한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파일 업로드 및 관리 시스템
● Native Base UI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AI 메신저에 최적화된 일관성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 Expo AV를 통한 고품질 오디오/비디오 스트리밍 및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개발
● React Native CallKeep을 활용한 네이티브 수준의 통화 인터페이스 및 백그라운드 통화 관리 구현
● React Native VoIP Push Notification을 통한 실시간 음성/영상 통화 알림 및 연결 시스템
● AI 기반 콘텐츠 생성 및 처리를 위한 백엔드 API 연동
● 소셜 네트워크 기능을 위한 팔로우/팔로워 시스템 및 피드 알고리즘 구현
● 대용량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를 위한 최적화된 캐싱 및 압축 시스템

화상 내재화 전환 개발 계약

프로젝트명 : 화상 내재화 전환 개발 계약 [사이트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주)교원
직책 : 용역공급자
프로젝트기간 : 2022. 06. 28 ~ 2022. 12. 31.

주요업무 및 역할
교원의 화상 내재화 전환 개발 프로젝트에서 용역공급자로 참여하여 기존 국내 화상회의 솔루션을 AWS의 Chime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개발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React 기반의 프론트엔드 개발을 주도하였으며, AWS Chime SDK를 활용한 화상회의 기능 구현과 AWS Lambda를 통한 서버리스 아키텍처 설계를 담당했습니다. 기존 시스템과의 연동성을 고려하여 안정적이고 확장 가능한 화상회의 플랫폼을 구축하였으며,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인터페이스 최적화 작업을 수행했습니다. 약 6개월의 프로젝트 기간 동안 화상회의 시스템의 내재화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여 교원의 디지털 교육 플랫폼 강화에 기여했습니다.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Front-end : React, JavaScript, HTML5, CSS3
Back-end : AWS(Lambda, Chime SDK, API Gateway, S3), Node.js

컨텐츠 관련 내용
● 교원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위한 화상회의 시스템 내재화
● 기존 외부 솔루션 대비 비용 절감 및 자체 운영 체계 구축

시스템 관련 내용
● React 기반의 반응형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 AWS Chime SDK를 활용한 실시간 화상회의 기능 구현
● AWS Lambda를 통한 서버리스 아키텍처 적용으로 운영 비용 최적화
● AWS API Gateway를 통한 RESTful API 설계 및 구현
● AWS S3를 활용한 녹화 파일 저장 및 스트리밍 서비스 구현
● 기존 교원 시스템과의 SSO(Single Sign-On) 연동
● 실시간 채팅 및 화면 공유 기능 구현
● 모바일 및 데스크톱 환경에서의 크로스 플랫폼 호환성 보장

차량공유 예약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디자인

프로젝트명 : 차량공유 예약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디자인
단체명(팀명) : (주)플라잉
직책 : 용역공급자
프로젝트기간 : 2021. 05. 11. ~ 2022. 04. 17.

주요업무 및 역할
Android, iOS 및 서버, 관리자 기능 개발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React Native, React Navigation, Styled-Components, MobX, .Express.js, Mysql, Sequelize, MongDB, MQTT, Aedes 등

플링고 - 최초의 구독형 영어 강의 서비스

프로젝트명 : 플링고 - 최초의 구독형 영어 강의 서비스 [사이트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쓰리랩스
직책 : 용역공급자
프로젝트기간 : 2021. 11. 26. ~ 2021. 12. 25.

주요업무 및 역할
플링고 앱 '피드' 기능 추가 앱프론트 및 Admin 프런트 개발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React Native, React Navigation, Zeplin 등

냉장고등어 - 우리집 냉장고를 내손안에 똑똑한 식품관리앱

프로젝트명 : 냉장고등어 - 우리집 냉장고를 내손안에 똑똑한 식품관리앱 [사이트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냉장고등어
직책 : 용역공급자
프로젝트기간 : 2021. 06. 23. ~ 2021. 08. 27.

주요업무 및 역할
기 운영중인 React Native 기반 냉장고 관리 Android, iOS 어플리케이션 개발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React Native, React Navigation, Zeplin 등

하임트리 - 환경을 생각한 착한 블랜딩 티

프로젝트명 : 하임트리 - 환경을 생각한 착한 블랜딩 티 [사이트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냉장고등어
직책 : 용역공급자
프로젝트기간 : 2021. 07. 05. ~ 2021. 08. 08.

주요업무 및 역할
기 개발된 사이트 언어 변경 및 MBTI스타일의 tea 추천 기능 개발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Vue.js(Vue, Vuex, Vue-Router), NuxtJS, MySQL 등

AiD Regen - 재생 치료, 이제는 간편하게

프로젝트명 : AiD Regen - 재생 치료, 이제는 간편하게 [사이트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로킷 헬스케어
직책 : 용역공급자
프로젝트기간 : 2021. 01. 15. ~ 2021. 04. 27.

주요업무 및 역할
ReactNative기반의 모바일 앱 개발, 관리자 웹 개발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React Native, React Navigation, React-Native-SVG, Storybook, Styled-Components, Figma 등

아이스크림 ERbank - 저작권 걱정 없이 학습자료를 만들고 공유하는 멀티미디어 큐레이션 플랫폼

프로젝트명 : 아이스크림 ERbank 저작도구 프론트앤드 개발 - 저작권 걱정 없이 학습자료를 만들고 공유하는 멀티미디어 큐레이션 플랫폼 [사이트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돔팸
직책 : 용역공급자
프로젝트기간 : 2021. 01. 13. ~ 2021. 04. 02.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Vue.js(Vue, Vuex, Vue-Router), nuxtJS, vuetify, Zeplin 등

어팬 - 좋아요 이상으로 크리에이터를 응원하는 방법

프로젝트명 : 어팬 - 좋아요 이상으로 크리에이터를 응원하는 방법. [Android 앱 바로가기] [iOS 앱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커먼컴퓨터
직책 : 용역공급자
프로젝트기간 : 2021. 01. 05. ~ 2021. 02. 09.

주요업무 및 역할
React Native 앱 번역API 및 유튜브 업로드 기능 추가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React Native, React Navigation, Figma, Google Cloud Translation API, Youtube API, Firebase API 등

머케인 메이트 - 전동 킥보드 공유 서비스

프로젝트명 : 머케인 메이트 - 전동 킥보드 공유 서비스 [Google Play 바로가기] [App Store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주)머케인
직책 : 용역공급자 (업무분담률 : Front-end 파트 100%)
프로젝트기간 : 2020. 11. 05. ~ 2020. 12. 05.

주요업무 및 역할
준비중 ...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React Native, React Native Navigation, Storybook, Styled-Components, MobX, Axios, Moment, Zeplin

시스템 관련 내용
● React Native로 Android, iOS 앱 개발
● React Native Navigationd으로 네이티브 기반 네비게이션 구현
● MobX를 통한 스토어 디자인 적용
● Storybook을 통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
● Styled-Components를 통한 Style 적용

HANG5: Real connections. Powered by the stars.

프로젝트명 : 기 개발된 웹 사이트 페이지 추가 개발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주식회사 행파이브
직책 : 용역공급자 (업무 : Front-end *기존시스템 추가개발)
프로젝트기간 : 2020. 10. 16 ~ 2020. 11. 03.

주요업무 및 역할
기 개발된 웹 사이트에 추가적인 기능 및 페이지를 구현하였습니다. React를 이용하여 Front-end 개발을 진행하였으며, 랜딩페이지 구축, 입력폼 추가, 결과화면 수정디자인 반영 등의 작업을 수행하였습니다.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React, Context API, ScrollReveal.js

두드림퀵-두드림몰 통합 운영을 위한 홈페이지 개발

프로젝트명 : 두드림퀵-두드림몰 통합 운영을 위한 홈페이지 개발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주식회사 두드림퀵
직책 : 용역공급자 (업무 : Front-end, Back-end *기존시스템 추가개발)
프로젝트기간 : 2020. 09. 07 ~ 2020. 11. 09.

주요업무 및 역할
기 개발된 웹 사이트에 추가적인 기능 및 페이지를 구현하였습니다. Front-end는 React, Back-end는 Django 기반의 시스템에 페이지 추가, 신청폼 최신화, 결제수단 추가 등의 작업을 수행하였습니다.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React, Redux, Django, EC2, S3, I'mport

게임 통합 서비스 운영플랫폼 개발

프로젝트명 : 게임 및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통합 서비스 운영플랫폼의 프론트엔드 영역에 대해서 개발하고 라이브 서비스 환경을 구축
사업주 : 주식회사 웹젠
직책 : 계약직 (업무분담률 : Front-end 파트 100%)
프로젝트기간 : 2020. 06. 05. ~ 2020. 11. 30.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Vue.js(Vue, Vuex, Vue-Router), Vuetify

*서비스 이미지 및 상세내용은 보안상의 이유로 제공할 수 없습니다.

Willbe : 미래-체크인 어플리케이션 인앱 채팅/메시지 개발

프로젝트명 : "'(주)다각형컴퍼니'가 생산하는 미래-체크인 어플리케이션 윌비"의 인앱(in App) 채팅/메시지의 전체 <Willbe : 미래-체크인 어플리케이션> [Google Play 바로가기] [App Store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주)다각형컴퍼니
직책 : 프리랜서 (업무분담률 : 채팅파트 Front-end 100%, Back-end 100% *기존시스템 추가개발)
프로젝트기간 : 2020. 03. 02 ~ 2020.04.01.

주요업무 및 역할
서비스 출시에 앞서 앱내의 채팅/메시지 기능의 전체를 개발하였습니다. React Native와 Django 기반의 개발환경 위에 Websocket과 Django Channels를 이용해 실시간 채팅기능을 구축하였습니다. 실시간 채팅, 그룹채팅, 이미지 전송, 팔로워/팔로우 검색, 새 메시지 알림 등의 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React Native (React Hooks), React Navigation, Redux, Websocket, Django REST framework, Django Channels, Redis

어맛: 입맛 분석 기반 음식 맛집 리뷰 SNS

프로젝트명 : 개인 맞춤형 음식 추천 APP의 UI 개선 및 출시 <어맛: 입맛 분석 기반 음식 맛집 리뷰 SNS> [Google Play 바로가기] [App Store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Weness
직책 : 용역공급자 (업무분담률 : Front-end 파트 100%, Back-end 파트 50% *기존시스템 추가개발)
프로젝트기간 : 2020. 01. 08 ~ 2020.09.30.

주요업무 및 역할
재택 프리랜서로서 입맛테스트를 보고 나와 가장 입맛일치도가 높은 유저의 맛집, 요리, 음식, 주변맛집, 핫플레이스 데이트코스 리뷰를 제공하는 어맛앱을 개발했습니다. 백엔드로 Django REST Framework를 사용하여 API를 제공하고, React Native 기반의 앱을 기술환경 구성부터 기능 구현하였으며, 현재 iOS 및 Android 마켓에 배포되어 서비스 중입니다.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React Native, React Navigation, Styled-Components, Context API, Axios, Moment, Figma, Slack

시스템 관련 내용
● React Native로 Android, iOS 앱 개발
● React Navigation으로 네비게이션 구현
● Context API를 통한 스토어 디자인 적용
● Styled-Components를 통한 Style 적용

스타필드 모바일 개편 구축 및 디지털채널 통합운영 개발 업무

프로젝트명 : 스타필드 모바일 개편 구축 및 디지털채널 통합운영 개발 업무 [Google Play 바로가기] [App Store 바로가기]
발주사 : (주)신세계프라퍼티
수행사 : 플립커뮤니케이션즈
직책 : 프리랜서 (업무분담률 : Front-end 파트 60%)
프로젝트기간 : 2019. 11. 25. ~ 2020. 04. 30.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Vue.js(Vue, Vuex, Vue-Router), Vuetify, Axios, ESLint
SVN, Zeplin

...내용 준비용...

행복나래 HAVIS 모바일 시스템 구축 개발 업무

프로젝트명 : 행복나래 HAVIS 모바일 시스템 구축 개발 업무 [Google Play 바로가기] [App Store 바로가기]
발주사 : 행복나래주식회사
수행사 : 플립커뮤니케이션즈
직책 : 프리랜서 (업무분담률 : Front-end 파트 100%)
프로젝트기간 : 2019. 09. 16 ~ 2019. 11. 15.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Vue.js(Vue, Vuex, Vue-Router), Vuetify, Axios, Moment, ESLint
Gitlab, Zeplin

...내용 준비용...

FLYERS

플라이어즈: 성공을 위한 날개

회사 소개
플라이어즈(FLYERS)는 성공을 꿈꾸는 기업들에게 IT 솔루션을 제공하여 날개를 달아주는 B2B 스타트업입니다. 우리는 모바일 및 웹 시스템의 구축과 개발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추고 있으며, 매 프로젝트에 대한 애착과 책임감을 가지고 클라이언트와 함께 성공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회사 성장
플라이어즈는 각 프로젝트에 대한 자사 서비스 수준의 품질을 유지하며, 결과적으로 다양한 브랜드와 기업들로부터 매년 재계약 제안을 받는 회사로 성장해왔습니다. 우리의 팀은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로 구성된 젊고 역동적인 에이전시로, 90년대생의 특징을 가진 팀원들은 커뮤니케이션에서 유연함과 미래 지향적인 사고를 지니고 있습니다.

우리의 역량
우리는 프로젝트의 기획부터 디자인, 프론트엔드, 백엔드까지 전반적인 시스템을 맡아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다수의 React, React Native, Vue를 비롯한 다양한 개발 경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JS Express, Python Django, Java Spring 등의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완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능력과 경험이 다양한 프로젝트에 성공적으로 적용되어 클라이언트들에게 항상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비전
플라이어즈는 끊임없는 혁신과 성장을 추구합니다. 우리는 기업의 비전과 목표를 이해하고, 최신 기술과 도구를 활용하여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클라이언트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함께 성장하고, IT의 파트너로서 믿음직한 존재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플라이어즈와 함께라면 여러분의 비전을 현실로 만들어 나갈 동료와 파트너를 찾을 수 있습니다. 함께 더 큰 미래를 향해 나아가요!

위케어 - 영양제 구매 필수 앱

프로젝트명 : 위케어 - 영양제 구매 필수 앱 [Google Play 바로가기] [App Store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위케어
직책 : 프리랜서 (업무분담률 : Front-end 파트 100%)
프로젝트기간 : 2019. 06. 10 ~ 2019. 09. 15.

주요업무 및 역할
프리랜서로서 복용 중인 영양제에 대한 소진일을 알려주어 해당 영양제의 인터넷 최저가 구매를 돕는 Wecare앱을 개발했습니다. 백엔드 개발자로부터 API를 제공받아 React Native 기반의 앱을 기술환경 구성부터 기능 구현하였으며, 현재 iOS 및 Android 마켓에 배포되어 서비스 중입니다.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React Native, React Native Navigation, Styled-Components, MobX, Axios, Moment, ESLint
Bitbucket, Zeplin, Figma, Slack

시스템 관련 내용
● React Native로 Android, iOS 앱 개발
● React Native Navigationd으로 네이티브 기반 네비게이션 구현
● MobX를 통한 스토어 디자인 적용
● Styled-Components를 통한 Style 적용

철원버스 v2

프로젝트명 : 철원군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 및 배차정보 안내 어플리케이션 리뉴얼 [GitHub 바로가기] [Google Play 바로가기] [App Store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개인 프로젝트
직책 : - (업무분담률 : 100%)
프로젝트기간 : 1개월

주요업무 및 역할
사이드 프로젝트로서 철원군청에서 버스운행정보를 제공받아 철원군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 및 배차정보를 안내하는 앱을 구현하였습니다. 2012년 당시 Java로 구현하였던 앱을 2019년에 React Native으로 리뉴얼했습니다. 철원군청 안전도시과의 협조를 통해 얻은 버스운행정보를 DB에 저장하여 Django 기반의 API 서버를 구축하였으며, React Native 기반의 앱을 기술환경 구성부터 기능 구현하였습니다. 현재 iOS 및 Android 마켓에 배포되어 서비스 중입니다.

사용 기술
Front-end : React Native, MobX, Axios, Moment, ESLint
Back-end : Django

업무 성과
● 다운로드 5000+, 평점 4.40/4.5

시스템 관련 내용
● React Native로 Android, iOS 앱 개발
● MobX를 통한 스토어 디자인 적용
● Back-end Framework로 Django 사용

Roots Chat - Roots 학습 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전용 채팅 앱

프로젝트명 : Roots Chat - Roots 학습 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전용 채팅 앱 [Google Play 바로가기] [App Store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스마트앤와이즈
직책 : 개발자 (업무분담률 : 90%)
프로젝트기간 : 2018. 07. 23 ~ 2019. 05. 31.

주요업무 및 역할
공유 인지 기반의 ROOTs 학습시스템의 채팅시스템을 모바일 앱으로 개발했습니다. GraphQL API를 이용하여 React Native 기반의 앱을 기술환경 구성부터 기능 구현하였으며, 현재 iOS 및 Android 마켓에 배포되어 서비스 중입니다.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Front-end : React Native, MobX, WebSocket, Axios, Moment, ESLint
Back-end : Django(GraphQL, Channels) *"공유 인지 기반의 ROOTs 학습시스템"와 동일 [바로가기]

컨텐츠 관련 내용
● Roots 학습 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전용 채팅 앱으로 활용
● 고려대학교 영재교육원, 삼성주니어소프트웨어아카데미 미래교사단 등에 보급

시스템 관련 내용
● React Native로 Android, iOS 앱 개발
● Back-end Framework로 Django 사용 (GraphQL, Channels 적용)
● Firebase로 Google Oauth, Notification 연동

Roots.js - 교육용 SW 프로토타입핑 시스템

프로젝트명 : Roots.js - 교육용 SW 프로토타입핑 시스템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스마트앤와이즈
직책 : 개발자 (업무분담률 : 100%)
프로젝트기간 : 2018. 05. 17 ~ 2019. 05. 31.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Front-end : Vuetify.js, Nuxt.js(SSR, Vue, Vuex, Vue-Router), Blockly, Socket.io, Axios, Moment, JQuery, Sass, ESLint
Back-end : *"공유 인지 기반의 ROOTs 학습시스템"와 동일 [바로가기]

컨텐츠 관련 내용
● 소프트웨어 공학에서의 MVC 디자인패턴을 기반으로 코드블럭을 조립하는 CODE, 가공할 데이터를 정리하는 DATA, 화면을 구성하는 UI로 활동 분리
● CODE는 인지수준이 낮은 학습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JavaScript 문법을 블럭의 형태로 나누고, 설계한 알고리즘에 따라 조립하여 프로그래밍할 수 있도록 지원
● DATA는 스프레드시트 형태의 표를 제공하여 컬럼명 변경, 로우 추가/삭제 등의 활동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개념을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 Google Sheet Import/Export 지원으로 엑셀데이터 가공 용이
● UI는 WYSIWYG 기반의 HTML 에디터를 제공하여 HTML/CSS의 지식없이도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 SVG 에디터를 지원하여 스크래치 또는 엔트리와 같은 벡터 그래픽 기반 객체도 생성 가능
● 공유 인지 기반의 ROOTs 학습시스템에서 학습컨텐츠로 활용
● 고려대학교 영재교육원, 삼성주니어소프트웨어아카데미 미래교사단 등에 보급

시스템 관련 내용
● Front-end Framework로 Nuxt.js 사용
● Material Component Framework로 Vuetify.js 사용
● Block-based Programming 구현을 위해 Blockly 사용
● Back-end Framework로 Django 사용 (GraphQL API 적용)
● Firebase Authentication으로 Google Oauth 연동
● Database로 PostgreSQL용 Amazon RDS 연동

바른미래당 지역 시도당 홈페이지

프로젝트명 : 바른미래당 지역 시도당 홈페이지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TKTV
직책 : IT개발 국장 (업무분담율 : 100%)
프로젝트기간 : 1개월

주요업무 및 역할
바른미래당 중앙당의 의뢰를 받아 12개 지역 시도당 (서울시당, 경기시당, 광주시당, 대구시당 등)의 홈페이지와 이를 WebView로 구현한 모바일앱을 제작했습니다. Django를 사용하였으며, 하나의 인스턴스에서 uWSGI Emperor을 통해 다중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사용 기술 : HTML, JQeury, uWSGI Emperor, Django, Maria DB, Bootstrap, XEIcon

관련 내용
● 서울, 광주, 대구, 대전 등 12개 지역 시도당 홈페이지 제작
● uWSGI Emperor를 이용한 프로세스 관리
● CKEditor 사용
● Responsive Web 구현으로 모바일 최적화

공유 인지 기반의 ROOTs 학습시스템

프로젝트명 : 공유 인지 기반의 ROOTs 학습시스템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스마트앤와이즈
직책 : 개발자 (업무분담률 : 50% 이상)
프로젝트기간 : 2017. 11. 17 ~ 2019. 05. 31.

주요업무 및 역할
스마트앤와이즈의 주력 서비스로서 시스템 설계부터 기술환경 구성, UI/UX 디자인, 기능 구현 등 전반적인 개발을 주도하였습니다. 기존 PHP로 되어있던 서비스에 대한 리뉴얼 작업을 제안하여 2명의 개발자가 약 2개월의 기간에 걸쳐 초기버전을 개발했습니다. Front-end Framework로 Nuxt.js를, Back-end Framework로 Django를 사용하였고, GraphQL API를 통해 데이터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기획 초기 Google Drive, Firebase Auth, Firestore 등 구글의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는데,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데이터 수집/가공의 문제로 Roots Workbook, Roots Chat 등 자체 서비스로 대체개발했습니다. 전국의 각지의 학생들이 시스템에서 동시에 라이브 방송을 통해 수업을 하는 서비스 특성상 일정시간에 트래픽이 몰리는 것을 대비하여 DB를 Amazon RDS로 분리하고, AWS Auto-Scaling과 Load Balancer를 적용했습니다. 현재 고려대학교 영재교육원과 삼성주니어소프트웨어아카데미의 교육 플랫폼으로 서비스 중입니다.

사용 기술(본인의 업무파트에서 사용한 기술 목록)
Front-end : Nuxt.js, Firebase Auth, WebSocket, Axios, Moment, JQuery, Sass, Spectre.css, XEIcon, ESLint
Back-end : AWS(EC2, RDB, Lambda, Step Functions, API Gateway), Django(GraphQL, Celery, Channels, Redis), Google Cloud(Drive API), RabbitMQ, Postgres, uWSGI, Nginx

컨텐츠 관련 내용
● 탐구공동체(학습생태계) 기반 공유인지 학습 모델 적용
● 고려대학교 영재교육원, 삼성주니어소프트웨어아카데미 미래교사단 등에 보급

시스템 관련 내용
● Front-end Framework로 Nuxt.js 사용
● Back-end Framework로 Django 사용 (GraphQL API 적용)
● AWS Auto-Scaling과 Load Balancer 적용
● Firebase Authentication으로 Google Oauth 연동
● Firebase의 Firebase을 사용하여 실시간 서비스 구현 => 데이터 가공 용이성 문제로 Django Channels로 대체 => delay 이슈로 Redis 적용
● 최소 비용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Google Drive를 통해 각자의 공간을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체 시스템을 운영 => 자체 Presentation 서비스 Roots Workbook을 개발
● Google Drive API를 통한 파일 생성/복사, 권한설정 간의 delay 이슈를 해결하고자 분산작업큐인 Celery를 이용한 비동기 처리 (메세지 브로커로 RabbitMQ 사용) => 리소스 부하가 큰 Celery를 대신하여 기존의 비동기 작업을 AWS Lambda로 대체 => Roots Workbook의 개발로 자연스레 delay 이슈 해결
● Database로 PostgreSQL용 Amazon RDS 연동
● Google Analytics와 Hotjar를 통해 웹로그 및 트래픽 분석

고려대학교 영재교육원 성향평가 시스템

프로젝트명 : 고려대학교 영재교육원 성향평가 시스템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스마트앤와이즈
직책 : 개발자 (업무분담율 : 100%)
프로젝트기간 : 1개월

사용 기술
Front-end : Vue.js(Vue, Vuex, Vue-Router), Spectre.css, XEIcon
Back-end : Django(Django REST framework), Mysql, Apache
ETC : Firebase Authentication

업무 성과
● 2018학년도 고려대학교 영재교육원 1차, 2차 전형 성향평가 및 결과발표 진행(전형자 약 2000명)

관련 내용
● Front-end Framework로 Vue.js 사용
● Back-end Framework로 Django 사용 (DRF 사용하여 JSON Parsing)
● Firebase Authentication를 사용하여 Google Oauth 연동

학습시스템 Roots for Mobile

프로젝트명 : 학습시스템 Roots for Mobile
단체명(팀명) : 스마트앤와이즈
직책 : 개발자 (업무분담율 : 100%)
프로젝트기간 : 1개월

사용 기술 : React-Native, Firebase
업무 성과
● 고려대학교 영재교육원, 미래융합교육연구소, 삼성미래교사단 등 교육지원

관련 내용
● 기존 학습시스템 Roots Web의 모바일 서비스
● Firebase Notification 으로 알림 구현
● Firebase Database 로 채팅 구현

찾아오는 SW캠프

행사명 : 찾아오는 SW캠프
주최기관 : 고려대학교 SW중심대학 사업단
강의내용 : 라즈베리파이와 파이선으로 데이터 처리하기
강의대상 : 경기도교육청 교육과정 클러스터

2017 전공자 신입생 SW 캠프

행사명 : 2017 전공자 신입생 SW 캠프
주최기관 : 고려대학교 SW중심대학 사업단
강의내용 : 피지컬컴퓨팅으로 배우는 SW
강의대상 :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17학번 신입생

피지컬 컴퓨팅으로 배우는 SW

행사명 : 고등학생 대상 SW교육
주최기관 : 고려대학교 SW중심대학 사업단
강의내용 : 피지컬 컴퓨팅으로 배우는 SW
강의대상 : 서울 중앙고등학교

국민의당 대구시당 홈페이지

프로젝트명 : 국민의당 대구시당 홈페이지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TKTV
직책 : IT개발 국장 (업무분담율 : 100%)
프로젝트기간 : 1개월

사용 기술 : HTML, JQeury, Django, Maria DB, Bootstrap, XEIcon

관련 내용
● CKEditor 사용
● Responsive Web 구현으로 모바일 최적화

2016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행사명 : 2016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주최기관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발표내용 : 자연계열 전공자를 위한 정보학관련 부전공 필수이수에 관한 제언

자연계열 전공자를 위한 정보학관련 부전공 필수이수에 관한 제언

논문명 : 자연계열 전공자를 위한 정보학관련 부전공 필수이수에 관한 제언
저자명 : 박동혁, 이원규
학술행사 : 2016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목차
Abstract
1. 서론
2. 관련연구
3. 연구방법
4. 일본 지식체계 대비 한국현황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초록
정보학은 21세기의 필수적인 지식으로 제시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국가 기준 연방정부 수준에서 ‘모든 사람을 위한 디지털 세대 기술(Digital age skill for everyone)’이라는 새로운 공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며, 일본은 ‘2030년의 사회와 아이들의 미래’라는 교육개혁안을 발표하였다. 고등교육에서는 효과적인 정보학 교육을 위해 세계적으로 교육과정 개편과 교육 방법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정보학 부전공의 내용을 일본 J07의 ‘부전공으로서 정보 분야의 지식체계’와 비교하였다. 일본은 J07의 ‘부전공으로서 정보 분야의 지식체계’를 통해 정보학관련 부전공 이수를 위한 표준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반면 한국의 대학은 부전공을 위한 표준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있지 않으며, 전공인정학점의 1/2인 18~25학점을 이수하는 부전공의 이수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정보학관련 부전공을 체계적으로 이수하기 위해서는 표준교육과정을 개발하여야 하며, 정보학이 다른 교과들에 대한 메타교과의 역할을 하고 있는 만큼 필수과정으로 제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찾아가는 SW캠프

행사명 : 찾아가는 SW캠프
주최기관 : 고려대학교 SW중심대학 사업단
강의내용 : 아두이노로 배우는 SW
강의대상 : 강원 정선 임계고등학교

고려대학교 Informatics&Computing Education Lab 홈페이지

프로젝트명 : 고려대학교 Informatics&Computing Education Lab 홈페이지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InC Lab
직책 : 연구원

사용 기술 : HTML, JQeury, Django, Maria DB, Bootstrap, XEIcon

관련 내용
● Let's Encrypt SSL 적용
● 네이버 파파고 SMT 기계번역 API 적용 (영어, 일본어)
● CKEditor 사용
● Responsive Web 구현으로 모바일 최적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아두이노 교육환경 설계

논문명 :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아두이노 교육환경 설계
저자명 : 박동혁, 이원규
학술행사 : 2016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행기관 : 한국정보처리학회

목차
요약
1. 서론
2. 관련 연구
3. 연구 방법
4.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초록
개정된 2015 정보교육과정에 컴퓨팅 시스템이 추가되면서 피지컬 컴퓨팅을 가르치기 위한 다양한 교육용 도구와 교수학습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다. 제안된 내용들을 살펴보면 센서를 제어하는 측면에 중점을 두고 있어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프로그래밍 학습의 제공이 부족하고, 학습활동 간에 1인 1PC와 다수의 전자부품을 활용할 공간이 필요하여 학교현장의 일반적인 교실환경과는 차이가 있어 피지컬 컴퓨팅 교육이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아두이노 교육환경 구축을 통해 현재 PC를 필요로 하는 피지컬 컴퓨팅 교육환경을 스마트기기 기반의 교육환경을 제시하여, 기존의 시스템보다 실습용장비, 실습실, 이동의 자율성, 그리고 사용언어 측면에서 개선시키고자 한다.

2016년 춘계학술발표대회

행사명 : 2016년 춘계학술발표대회
주최기관 : 한국정보처리학회
발표내용 :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아두이노 교육환경 설계

자기주도학습 도우미 어플리케이션 7o’clock(학생용) 개발

프로젝트명 : 자기주도학습 도우미 어플리케이션 7o’clock(학생용) 개발
단체명(팀명) : 7o’clock
직책 : 기술부분 공동창업자 (업무분담율 : 100%)
프로젝트기간 : 5개월

사용 기술 : Java, Android-Query, ViewPaper
업무 성과
● 스마트벤처창업학교 입교 지원 사업

관련 내용
본 어플리케이션은 자기주도학습 도우미로서 선생님이 출제한 문제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풀어보고 정오답, 해설, 동영상을 제공을 통한 학습증진을 돕는 앱니다.
● Django를 통한 JSON Parsing으로 데이터 수집
● Android 2.X 에서 Fragment 작동을 위한 ViewPaper Library 사용
● Image Loading으로부터 데이터 사용 절약을 위한 AQuery Image Caching 적용
● Youtube API를 사용하여 원활한 동영상 시청 가능

수학문제 출제 도우미 7o’clock(교사용) 개발

프로젝트명 : 수학문제 출제 도우미 7o’clock(교사용) 개발
단체명(팀명) : 7o’clock
직책 : 기술부분 공동창업자 (업무분담율 : 100%)
프로젝트기간 : 1년

사용 기술 : HTML, JQeury, Django, Ajax, Maria DB
업무 성과
● 스마트벤처창업학교 입교 지원 사업
● 2015년도 3기 스마트벤처창업학교 청년창업자 약 4000만원 상당 지원

관련 내용
7o’clock은 수학 지도를 위한 컨텐츠 제작 솔루션으로서 수학에 대한 학습단원, 난이도, 영역, 형태, 유형, 오답률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하여 교사가 출제하고자하는 문제를 쉽고 빠르게 구성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 MVC 패턴의 Django Framework를 사용하여 개발
● Oracle에 인수된 Mysql을 대신하여 라이센스가 자유로운 Maria DB 사용

고교-대학 연계 동아리 전공 체험 프로그램

행사명 : 고교-대학 연계 동아리 전공 체험 프로그램
주최기관 : 경일대 S-ICT 융합 플랫폼 비즈니스 창의인재 양성사업단
강의내용 :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프로그래밍 배우기
강의대상 : 대구 심인고등학교 과학발명반 (I.D.O.)

2015년도 융합/스마트/클라우드 컴퓨팅 학술대회

행사명 : 2015년도 융합/스마트/클라우드 컴퓨팅 학술대회
주최기관 : 대한전자공학회
발표내용 : IR센서 기반 라즈베리파이를 활용한 스마트홈 자동화 시스템 구현

IR센서 기반 라즈베리파이를 활용한 스마트홈 자동화 시스템 구현

논문명 : IR센서 기반 라즈베리파이를 활용한 스마트홈 자동화 시스템 구현
저자명 : 박동혁, 김현성
학술행사 : 2015년도 융합/스마트/클라우​드 컴퓨팅 학술대회
발행기관 : 대한전자공학회

목차
Abstract
1. 서론
2. 스마트홈 자동화 시스템
3. IR센서 기반 스마트홈 자동화 시스템
4. 기존 시스템의 문제점 및 스마트홈 자동화 시스템을 통한 해결 방안
5. 결론
사사(Acknowledgement)
참고문헌

초록
With the advance of IT technology, a number of IT devices is used everywhere in our daily life including eating, wearing and housing. Since it is expected to be expanded to use lots of IT devices, interoperability between devices should be automatically performed, which should not involve human's control efforts. However, many home appliances have already prevalence that is not easy to catch this requirement and has long cycles to be replaced.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and implements a new smart home automation system by using the IR sensor, which remotely controls the home appliance without any burden by replacement of a new device and the interlocking of the various devices.

SBISurban-Secure Urban Bus Information System based on Smart Devices

논문명 : SBISurban-Secure Urban Bus Information System based on Smart Devices
저자명 : 박동혁, 김현성
학술행사 : International Journal of Security and Its Applications
발행기관 : SERSC

간략설명
철원버스 앱의 운영 사례를 기초로 Bus Information System(BIS)이 갖고있는 보안적 이슈와 보호되어야 하는 데이터, 그 데이터 속성에 따라 달리해야하는 보안기술, 그리고 주요 보안위협에 대한 안전성 비교 등을 연구한 논문입니다. BIS는 User, Bus, Server의 엔드노드를 갖으며, 각 노드들 간의 통신에는 인증, 기밀성, 무결성, 프라이버시 등의 보안요소를 요구합니다. 이에 각 노드들이 통신할 때에 보안요소를 충족할 수 있는 보안기술로 HTTPS 통신 및 AES, ECC, SHA2 등을 활용한 Public Key Cryptosystem, Reporting Fake Signal 등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Bus Masquerading Attack, Server Masquerading Attack, Session Key Agreement, Privacy Support 등의 공격에 대한 안정성을 갖는것을 증명합니다. SCOPUS 등재지 International Journal of Security and Its Applications 2015년 9권 1호에 게재했습니다.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Overview of Bus Information System
3. Secure
4. Analyses
5. Conclusion
6. ACKNOWLEDGEMENTS
7. References

초록
Bus information system (BIS) has been developed for networking passengers with bus companies that provide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The BIS, also denoted as BISgeneralized, supports a passenger with personalized and realtime bus information services in all phases of a journey. Today’s BISgeneralized encompasses multiple technologies, including advanced visual displays, public address, emergency intercommunications, digital surveillance systems, IP networks, wireless networks, video streaming, coders, decoders and many more. These systems deliver real time bus information seamlessly on vehicles and in stations, while they are controlled and managed from a single control center. However, lots of small bus companies’ services like urban city’s bus company or small organization’s bus could not afford to operate the profound services to the passenger due to the budget of the city, which requires complicated infrastructure. To provide the BIS services with cheap cost, this paper proposes a secure urban BIS, denoted by SBISurban, based on smart devices and explains the security issues related to the system operation. The SBISurban is to reduce the cost and to ensure security and privacy from the BISgeneralized. The SBISurban is secure from various attacks, provides privacy and has good properties compared with the other systems.

IR 센서를 이용한 웹 기반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프로젝트명 : IR 센서를 이용한 웹 기반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단체명(팀명) : 신컨
직책 : 팀장 (업무분담율 : 90%)
프로젝트기간 : 3개월

사용 기술 : Raspberry pi, Node.js
업무 성과
● 2015 융합/스마트/클라우드 컴퓨팅 학술대회 발표 ● 우수논문상 수상

관련 내용
본 프로젝트의 목표는 “IR 센서를 이용한 웹 기반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개발”로서 IR센서를 조작하는 오픈소스 하드웨어 개발을 통해 현재 리모컨으로 조작되는 모든 생활가전을 제어함으로써 홈오토메이션 환경을 구축하기 위함입니다.
● IR 센서를 이용한 모든 생활가전 원격조종 기능 개발
● 일대다 기기 연동을 통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구축
● Node.js를 이용한 웹 기반의 관리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멀티 플랫폼 지원

대구·경북 인터넷 신문 iTKTV 홈페이지

프로젝트명 : 대구·경북 인터넷 신문 iTKTV 홈페이지[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TKTV
직책 : IT개발 국장 (업무분담율 : 100%)
프로젝트기간 : 1개월

사용 기술 : HTML, JQeury, Django, Ajax, Maria DB
업무 성과
● 솔루션 형태로 제작하여 유지보수가 용이 ● 현재 5,000여개의 기사 게시 중

게이머를 위한 가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REDBOMBA

프로젝트명 : 게이머를 위한 가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REDBOMBA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REDBOMBA
직책 : CTO (업무분담율 : 100%)
프로젝트기간 : 1년

사용 기술 : HTML5, JQeury, Django, Node.js, Bootstrap, Font Awesome, Maria DB
업무 성과
● 스마트벤처창업학교 입교 지원 사업
● 2014 청년창업 아이템 경진대회 3위 수상
● 2014년도 2기 스마트벤처창업학교 청년창업자 약 8000만원 상당 지원

관련 내용
레드밤바는 전체 게임을 연결한 게이머를 위한 VNS(Virtual social Network Service)입니다. 계정을 생성해서, 피드를 작성하고, 친구를 맺고,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단, 굳이 게이머를 위한 SNS라 하지 않는 것은 그 주체가 게임 계정이라는 것에 있습니다. 실 사회에서는 존재하지 않지만, 게임 사회에서는 네트워크의 주체가 되며 자신과 동일시되는, 실명과 익명의 경계에 서있는 게임 계정 중심의 가상 사회(virtual social) 네트워크 서비스가 레드밤바입니다.
● MVC 패턴의 Django Framework를 사용하여 개발
● Oracle에 인수된 Mysql을 대신하여 라이센스가 자유로운 Maria DB 사용
● Real-Time Application을 위한 Node.js 연동
● Riot Games社의 League of Legends 계정 API 연동

2010~2014 미스 대구경북 홈페이지 유지보수

프로젝트명 : 2010~2014 미스 대구경북 홈페이지 유지보수
단체명(팀명) : 디웰커뮤니케이션
직책 : 실장 (업무분담율 : 20%)
프로젝트기간 : 5년

사용 기술 : HTML5, Flash, PHP, Mysql

관련 내용
● XE 사용하여 제작
● 2010 ~ 2012년 Flash로 제작된 메인 애니메이션 사용
● 2013 ~ 2014년 HTML5로 제작된 메인 애니메이션 사용
● 매년 참가신청 및 네티즌 투표 진행

게이머를 위한 가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REDBOMBA 앱 개발

프로젝트명 : 게이머를 위한 가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REDBOMBA 앱 개발
단체명(팀명) : REDBOMBA
직책 : CTO (업무분담율 : 100%)
프로젝트기간 : 5개월

사용 기술 : Java, Socket.io, Android-Query, ViewPaper
업무 성과
● 스마트벤처창업학교 입교 지원 사업

관련 내용
본 어플리케이션은 REDBOMA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도록 주요기능 및 채팅, 알림 기능을 모바일 상에 구현한 어플리케이션입니다.
● Django를 통한 JSON Parsing으로 데이터 수집
● Android 2.X 에서 Fragment 작동을 위한 ViewPaper Library 사용
● Image Loading으로부터 데이터 사용 절약을 위한 AQuery Image Caching 적용
● Real-Time Chatting을 위한 WebSocket 기반의 Socket.io 사용

감성공학을 지향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프로젝트명 : 감성공학을 지향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단체명(팀명) : Emotional Life
직책 : 팀장 (업무분담율 : 50%)
프로젝트기간 : 3개월

사용 기술 : Raspberry pi, Python
업무 성과
● 2014 행복한 과학기술 공모전 출품

관련 내용
본 프로젝트는 라즈베리파이와 스마트폰의 통신을 이용하여 노인의 사회적 고립을 막고 우울증을 사전에 예방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로써 시중에 나와 있는 디지털 액자와는 다르게 사진뿐만 아니라 음성메시지 또는 영상메시지를 지원하며, 저소득층을 위해 동작감지 시스템으로 소비 전력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키고 보다 감성적으로 기기에 접근 할 수 있게 하는 개발목적을 갖고 있다.
● Raspberry pi가 서버가 되어 스마트폰으로 동영상 업로드
● 초음파 센서(HC-SR04)를 이용하여 사용자 접근여부 판단

Web 예약 알림 시스템 for IOS

프로젝트명 : Web 예약 알림 시스템 for IOS
단체명(팀명) : 디웰커뮤니케이션
직책 : 실장 (업무분담율 : 100%)
프로젝트기간 : 1개월

사용 기술 : Swift, APN
업무 성과
● 약 30여개 업체 서비스 중

관련 내용
● 모바일웹을 통해 등록된 예약/상담 내역 XML 파싱
● APN을 이용하여 신규 예약/상담 알림

Web 예약 알림 시스템 for Android

프로젝트명 : Web 예약 알림 시스템 for Android
단체명(팀명) : 디웰커뮤니케이션
직책 : 실장 (업무분담율 : 100%)
프로젝트기간 : 1개월

사용 기술 : Java, GCM
업무 성과
● 약 30여개 업체 서비스 중

관련 내용
● 모바일웹을 통해 등록된 예약/상담 내역 XML 파싱
● GCM을 이용하여 신규 예약/상담 알림

모바일웹 전용 솔루션 제작

프로젝트명 : 모바일웹 전용 솔루션 제작 [바로가기]
단체명(팀명) : 디웰커뮤니케이션
직책 : 실장 (업무분담율 : 100%)

사용 기술 : HTML, JS, PHP, Mysql
업무 성과
● (주)고려원, S&U커뮤니케이션, 국민의당 대구시당, 금단비가 포항점, 김정민 좋은이름연구소, 라이콘아카데미, 나겸헤어, 행복을심는치과, 헤어STmio, 세라노헤어, 공정욱치과, 김대한 헤어, 네오헤어카페, 두남자의 머리이야기, 진가제 반찬&김치, 성불암 일원선녀, 리안헤어, 파미에르, 대구예술대 뷰티예술학과, 도도아카데미, 리지헤어, 영남간호학원, 예신, 여우만들기, 이가자헤어비스, 진스초콜릿, 캄리유니온, 콩밭가인, 천지예향, H스타일, 포항대학교 철강산업회계실무과, TKTV

관련 내용
● 데스크탑과 모바일 환경 모두 사용가능한 Responsive Web
● 페이지 추가·삭제가 쉽도록 모델링
●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등 SNS 연결

모바일웹의 스마트폰 최적화를 위한 하이브리드 앱

프로젝트명 : 모바일웹의 스마트폰 최적화를 위한 하이브리드 앱
단체명(팀명) : 디웰커뮤니케이션
직책 : 실장 (업무분담율 : 100%)
프로젝트기간 : 1개월

사용 기술 : Java, Socket.io
업무 성과
● 약 30여개 업체 서비스 중

관련 내용
● Webview를 이용하여 모바일웹을 로드
● Socket.io을 이용하여 새로운 게시물 게시 시 자동 알림

철원시외버스

프로젝트명 : 철원군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 및 배차정보 안내 어플리케이션
단체명(팀명) : 개인 프로젝트
직책 : - (업무분담율 : 100%)
프로젝트기간 : 2개월

사용 기술 : Java, Font Awesome
업무 성과
● 총 설치 수 2,461명, 평점 4.62/13명

관련 내용
본 어플리케이션은 철원군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의 노선 및 배차정보를 안내해줌으로서 승객의 버스이용에 편의를 제공해줍니다.
● 출발지와 도착지를 이용하여 해당 노선을 검색하는 RouteSelector 개발
● HTML 파싱을 이용하여 군청 홈페이지에 정보를 자동 XML화
● MYSQL의 데이터를 XML화하여 Parsing한 데이터를 로컬에 저장하여 오프라인환경에서도 사용가능
● onCreate에서 DB의 XML Version 확인 후 자동 XML Re-write

2013년도 융합/스마트/클라우드 컴퓨팅 학술대회

행사명 : 2013년도 융합/스마트/클라우드 컴퓨팅 학술대회
주최기관 : 대한전자공학회
발표내용 : 개인적 지식 기반의 태그된 이미지를 활용한 그래피컬 패스워드 인증 기법

개인적 지식 기반의 태그된 이미지를 활용한 그래피컬 패스워드 인증 기법

논문명 : 개인적 지식 기반의 태그된 이미지를 활용한 그래피컬 패스워드 인증 기법
저자명 : 박동혁, 김현성
학술행사 : 2013년도 융합/스마트/클라우​드 컴퓨팅 학술대회
발행기관 : 대한전자공학회

목차
Abstract
1. 서론
2. 관련연구
3. 개인적 지식 기반의 패스워드 인증 기법
4. TK_GPS의 안전성 분석
5.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사사(Acknowledgement)
참고문헌

초록
This paper proposes a new TKGPS (Graphical Password Scheme based on Tacit Knowledge) using tagged image, which is to cope with the shoulder-surfing and random attack for the typical password-based authentication system. TKGPS exploits the tagged image as an example of tacit knowledge, which is used at Facebook, one of world largest SNS (Social Network Servic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K_GPS could easily cope with the shoulder-surfing attack and similar attacks.

2013년 대학정보보호동아리연합회 하반기 세미나

행사명 : 2013년 대학정보보호동아리연합회 하반기 세미나
주최기관 : 한국정보보호진흥원
발표내용 : Shoulder Surfing 공격을 고려한 암호패턴 알고리즘
발표대상 : 대학정보보호동아리연합회

Shoulder Surfing 공격을 고려한 암호패턴 어플리케이션

프로젝트명 : Shoulder Surfing 공격을 고려한 암호패턴 어플리케이션
단체명(팀명) : T.O.P
직책 : 팀장 (업무분담율 : 80%)
프로젝트기간 : 2개월

사용 기술 : Java, Facebook API
업무 성과
● 2013 KICOM 작품발표회 전시
● 2013 KUCIS 세미나 발표
● 2013 융합/스마트/클라우드 컴퓨팅 학술대회 발표
● 2013 KIU 공학페스티벌 전시

관련 내용
본 어플리케이션은 단순 패스워드 입력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개인적 지식에 기반한 새로운 그래피컬 패스워드 인증 기법입니다. 해당 기법은 개인적 지식에 기반한 SNS에서 공유하고 있는 지인의 사진 정보를 이용한 새로운 패스워드 인증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자신 외 다른 사람의 안면인식의 한계를 이용함으로서 무작위 공격과 훔쳐보기 공격에 대하여 기존의 기법들보다 안전성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 Facebook Graph API 사용
● Android WindowManager을 이용하여 화면 최상단 배치
● SharedPreferences를 이용한 Password 저장

철원버스

프로젝트명 : 철원군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 및 배차정보 안내 어플리케이션
단체명(팀명) : 개인 프로젝트
직책 : - (업무분담율 : 100%)
프로젝트기간 : 2개월

사용 기술 : Java
업무 성과
● 총 설치 수 6,361명, 평점 4.41/59명

관련 내용
본 어플리케이션은 철원군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의 노선 및 배차정보를 안내해줌으로서 승객의 버스이용에 편의를 제공해줍니다.
● 출발지와 도착지를 이용하여 해당 노선을 검색하는 RouteSelector 개발
● Widget Package를 이용하여 즐겨찾는 노선을 메인화면에 배치 가능
● MYSQL의 데이터를 XML화하여 Parsing한 데이터를 로컬에 저장하여 오프라인환경에서도 사용가능
● onCreate에서 DB의 XML Version 확인 후 자동 XML Re-write

소도매 상점을 위한 웹 연동 POS 프로그램

프로젝트명 : 소도매 상점을 위한 웹 연동 POS 프로그램
단체명(팀명) : 개인 프로젝트
직책 : - (업무분담율 : 100%)
프로젝트기간 : 3개월

사용 기술 : Java, PHP, Mysql
업무 성과
● 1개 업체에서 사용 중

관련 내용
본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에서 빠른 작업처리를 위하여 Java기반의 Client POS를 제작하였고, 언제 어디서도 재고 및 고객을 관리할 수 있도록 웹기반의 종합관리프로그램을 제작하였습니다.
● Java로 제작한 Client POS 프로그램
● 영수증 프린터 및 바코드 스캐너 연동
● PHP 기반 종합관리프로그램 제작
● POS 컴퓨터를 서버로 사용

HTML과 JS를 지원하는 태그 연습장 (안드로이드 용)

프로젝트명 : HTML과 JS를 지원하는 태그 연습장 (안드로이드 용)
단체명(팀명) : 개인 프로젝트
직책 : - (업무분담율 : 100%)
프로젝트기간 : 1개월

사용 기술 : Java, HTML, JS
업무 성과
● 총 설치 수 1084명
● 평점 5.0/5명

관련 내용
본 어플리케이션은 작성한 html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올바르게 구현되었는지를 확인하게 해주는 어플리케이션입니다. HTML은 물론 CSS와 JS를 지원하여 테스트가 불가능한 외출 중이라도 스마튼폰을 통해 테스트해볼 수 있는 접근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테스트뿐만 아니라 JS을 이용하여 간단한 단위 계산부터 조합, 순열과 같은 수학적 연산까지 구현이 가능합니다.
● Webview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작성한 HTML문서 로드
● 자주 쓰는 특수문자 또는 코드 버튼화
● 파일 Storage에 저장 및 불러오기 기능

제 7회 창업동아리 경연대회(BIZ PLAN)

행사명 : 제 7회 창업동아리 경연대회(BIZ PLAN)
주최기관 : 대구·경북지방중소기업청
출품내용 : iPhone상에서 인맥기반 커뮤니티 소프트웨어 개발
전시장소 : 경일대학교 체육관

2010년 한이음 IT멘토링 공모대전

행사명 : 2010년 한이음 IT멘토링 공모대전
주최기관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출품내용 : iPhone상에서 인맥기반 커뮤니티 소프트웨어 개발
전시장소 : 서울 COEX

iPhone 상에서 인맥기반 커뮤니티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명 : iPhone 상에서 인맥기반 커뮤니티 소프트웨어 개발
단체명(팀명) : T.O.P
직책 : 팀장 (업무분담율 : 100%)
프로젝트기간 : 2개월

사용 기술 : Objective-C, PHP, Mysql
업무 성과
● 2010 KICOM 작품발표회 전시
● 2010 한이음 엑스포 전시
● 제 7회 창업동아리 경연대회 전시
● KBS 뉴스 취재(2010.11.30. 방송)

관련 내용
본 어플리케이션은 “iPhone 상에서 인맥기반 커뮤니티 소프트웨어 개발”로서 iPhone 상에서 커뮤니티 구축을 통한 의사소통 소프트웨어입니다. 본 의사소통 소프트웨어는 취미, 취향, 소속이 같은 사람들이 모여 하나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서로의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개인 또는 단체가 얻고자 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 주어 공공의 이익을 창출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PHP POST를 이용하여 로그인 및 회원가입 구현
● FLAX로 제작된 기존 동아리 홈페이지의 Parsing용 XML 차용
● MYSQL의 데이터를 XML화하여 Parsing한 데이터 사용

2009년 대학정보보호동아리연합회 하반기 세미나

행사명 : 2009년 대학정보보호동아리연합회 하반기 세미나
주최기관 : 한국정보보호진흥원 발표내용 : 루트킷의 공격과 예방
발표대상 : 대학정보보호동아리연합회

대전 슈팅 온라인게임 Fight of Planes

프로젝트명 : 대전 슈팅 온라인게임 Fight of Planes
단체명(팀명) : Art of Parks
직책 : 팀원 (업무분담율 : 30%)
프로젝트기간 : 2개월

사용 기술 : Java, Socket
업무 성과
● 2009 KICOM 작품발표회 전시

관련 내용
기존 비행기 슈팅 게임은 X축 또는 Y축으로만 움직일 수 있는 단횡방식과 컴퓨터에 의해 작동이는 다수의 적을 처치하는 방식입니다. 본 게임은 기존 FPS와 같이 마우스와 키보드를 이용하여 XY축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한 게이머끼리 서로 대전할 수 있는 온라인 슈팅 게임입니다.
● UI/UX 디자인 전담 제작
● Swing을 이용한 Layout 구성
● Socket을 이용한 대기실 채팅 구현